무예도감(武藝都監)
고려 후기 국방력 강화업무를 관장하던 임시관서. # 내용
역인(譯人) 출신 중낭장(中郎將) 곽해룡(郭海龍)의 건의로 1384년에 설치되었다. 설치목적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, 당시 극에 달한 왜구의 창궐에 대비하기 위해서라고 생각되며, 우왕 14년에 결행되는 요동공격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.
왜냐하면, 이 무예도감의 설치가 역인출신 무관에 의하여 건의된 사실과 설치 후 한 달도 못 되어 우왕이 마암(馬巖)에 나아가 강무(講武)를 관람하며 내린 교시에서, 이 일이 국가의 대사임을 강조한 점은 4년 뒤 단행한 요동공격에 ...